반응형
전통적 방식 프로그램 설치
- 코드를 빌드해서 설치 후 사용
$ wget https://nginx.org/download/nginx-1.20.1.tar.gz
$ tar zxf nginx-1.20.1.tar.gz
$ cd nginx-1.20.1
$ ./configure
$ make
$ sudo make install
-> 빌드를 위한 각종 라이브러리 설치가 필요함. 직접 프로그램 실행 관리를 해야 함
소프트웨어 관리 작업을 단순화하고 편리하게
-> 패키징 시스템(패키지 매니저) 등장
- 패키지 시스템의 패키지 구성
-> 컴파일된 바이너리, 의존성 정보, 환경설정 템플릿 등 소프트웨어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이 포함
리눅스 패키지 관리 시스템
- 저수준
RPM <- RedHat 계열(RedHat, CentOS, Amazon Linux 등)
deb <- Debian 계열(Debian, Ubuntu 등) - 고수준 (다음 강의)
yum <- RedHat 계열
apt <- Debian 계열
zypper <- SUSE 계열
저수준 패키지 관리 시스템
rpm
- 패키지를 설치, 검증, 패키지 상태 확인
- 옵션
-i: 설치, -U: 업그레이드, -e: 삭제, -q: 질의
예) rpm -qa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나열
예) rpm -U 패키지명.rpm
-> 패키지 업그레이드 하지만, 종속성 관계로 실패하는 경우 많음
(예, 다른 패키지 영향을 고려해 업그레이드를 허용하지 않음)
-> --force 옵션으로 강제적인 업그레이드는 또 다른 문제를 발생…
dpkg
- 데비안 패키지 설치
- 옵션
-l : 설치된 패키지 목록, --install: 설치, --remove: 삭제
예) $ sudo dpkg --install 패키지명.deb
예) $ dpkg -l cp*
반응형
'리눅스 > Part3. Ch04. 소프트웨어 설치 및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02. 상위 레벨 패키지 관리 시스템 (apt, yum) (0) | 2022.07.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