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WS89

CH01_03. CD Continuous Delivery: 공유 레포지토리로 자동으로 Release 하는 것 Continuous Deployment: Production 레벨까지 자동으로 deploy 하는 것 CI가 새로운 소스코드의 빌드, 테스트, 병합까지를 의미하는데 CD는 개발자의 변경 사항이 레포지토리를 넘어, 고객의 프로덕션(Production) 환경까지 릴리즈 되는 것을 의미한다. 2022. 7. 14.
CH01_02. CI CI: 하루에도 수 차례 각 개발자들이 개발한 소스코드를 메인라인에 자주 병합하는 행위 CI라는 행위를 하는 이유: 거대한 소스코드 단위를 병합할 때 충돌과 어려움을 방지하기 위해 CI의 workflow는 아래와 같다. 개발자들이 로컬환경에서 소스코드를 작성 후 테스트를 하고 메인라인이 저장소에 올라가게 된다. CI 서버에서는 그 이벤트를 받아서 소스코드를 컴파일, 유닛/통합 테스트, 정적분석 등 다양한 과정들을 거치고 타겟서버로 배포된다. 2022. 7. 14.
CH02_10. 도커 이미지 다루기- Dockerfile(수정필요) 이번 시간에는 dockerfile 문법에 대해 알아보자 주석을 사용할 때는 "#"을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도커 파일의 명령어는 지시어와 인자 값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는 문장을 에코하도록 하는 예시이다. 다음 예시를 보면 WORKDIR 와 ADD를 보면 FOO라는 환경변수를 참조하고 있다. 이 환경변수는 컨테이너의 환경변수이다. ENV 지시어는 이미지 빌드 타임과 컨테이너 런타임에 환경변수 값을 전달한다. 빌드 argument를 전달할때는 ARG 지시어를 이용한다. 첫 번째로는 키 밸류 형식으로 기본값을 전달하는 방식이고 두 번쨰는 도커 빌드시 --build-arg 옵션으로 빌드argument를 전달할 수 있다. 2022. 6. 21.
CH02_09. 도커 이미지 다루기- 이미지 빌드 도커 이미지 구조는 아래와 같다. 이제 도커 이미지 구조를 실습환경에서 확인하자 docker images 명령어는 도커에 보관 중인 이미지 목록을 보여준다. 도커 이미지를 build 하는 방법으로는 dockerfile없이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과 dockerfile을 이용하여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dockerfile없이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분투 컨테이너를 하나 실행하고 my_file에 "Hello Fastcampus!"라는 텍스트가 담긴 파일을 생성하자 이제 docker commit 명령어로 해당 컨테이너를 이미지로 저장하자 -a 옵션은 누가 변경점을 만드는지 기록을 남길 수 있고 -m은 커밋메시지이다. docker image inspect my-ubuntu 명령어로 이미지의 .. 2022.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