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atic pod
k8s api 에게 요청을 보내지 않고 node의 kubelet daemon에 의해 실행되는 pod이다.
/etc/kubernetes/manifests/ 디렉토리에 yaml 파일을 저장시 적용된다.
static pod 디렉토리 구성
cat /var/lib/kubelet/config.yaml로 staticPodPath의 디렉토리를 볼 수 있다.
staticPodPath의 디렉토리에다가 yaml을 넣으면 pod가 실행된다.
config.yaml 파일의 staticPodPath의 디렉토리 위치를 수정했다면 kubelet daemon restart를 해야한다.
node에서 yaml파일 삭제하면 pod도 삭제된다.
반응형
'따배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따배쿠] 5-7 쿠버네티스 Pod - Pod 환경변수 설정과 실행 패턴 (0) | 2022.11.03 |
|---|---|
| [따배쿠] 5-6 쿠버네티스 Pod - Pod에 Resource 할당하기 (CPU/memory requests, limits) (0) | 2022.11.03 |
| [따배쿠] 5-3, 4. 쿠버네티스 Pod - init container & infra container (0) | 2022.11.03 |
| [따배쿠] 5-2. 쿠버네티스 Pod - livenessProbe를 이용해서 Self-healing Pod 만들기 (0) | 2022.11.03 |
| [따배쿠] 5-1-2. 쿠버네티스 Pod - Pod 동작 flow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