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i test.sh로 셸 스크립트를 작성해보자
내용은 아래와 같다.

df: 파일시스템 별 디스크 사용량을 점검하는 명령어
그리고 chmod +x test.sh 명령어로 test.sh 파일에 실행관한을 부여한다.
./test.sh 명령어를 입력하면 날짜와 함께 루트 파일디스크의 사용량을 보여준다.


PATH=$PATH:~/bin 명령어를 통해 /home/ubuntu/bin 경로도 PATH에 추가한다.
sample.sh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chmod +x sample.sh로 실행권한을 주고 sample.sh로 실행한다.

반응형
'따배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배셸] 8. Branching (0) | 2025.02.13 |
---|---|
[따배셸] 7. Input&Output (0) | 2025.02.13 |
[따배셸] 6. Positional Parameters (0) | 2025.02.13 |
[따배셸] 4. Bash shell과 Rules 2 (0) | 2022.11.14 |
[따배셸] 1강~3강 (0) | 2022.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