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따배쿠

[따배쿠] 18-2 Horizontal Pod Autoscaling 운영 - 실습편

by Engineer-Lee 2022. 11. 21.
반응형

먼저 metrics-server를 설치해보자

git clone https://github.com/237summit/kubernetes-metrics-server.git 

cd kubernetes-metrics-server

kubectl apply -f .  으로 설치하고

 

kubectl get deploy -A 로 확인하면 metrics-server가 실행중이다.

kubetctl top nodes 로 metrics-server 설치 확인을 하자

 

 

deploy_web.yaml 파일은 아래와 같다.

smlinux로 웹서버로 백만번 연산 후 ok 메시지를 띄운다.

또한 클러스터 ip도 만들었다.

 

kubectl apply -f deploy_web.yaml을 하면 deploy와 service가 실행된다.

 

 

hpa_web.yaml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최대 cpu사용량을 50%로 최소 1개에서 최대 10개까지 replicas를 늘려주는 동작을 하는 HPA를 생성한다.

 

 

kubectl apply -f hpa_web.yaml 으로 HPA를 실행한다.

 

그리고 curl 10.108.47.192 을 통해 클러스터 ip로 접속하면 ok가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다.

 

접속을 늘리기 위해

   while true 

> do

> curl 10.108.47.192

> done

을 입력한다. 그럼 targets의 cpu 사용량 %가 올라서 replicas 개수가 늘어나는걸 볼 수 있다.

이는 HPA로 scale out이 구현된 것이다.

 

 

그리고 ctrl + c 를 입력하여 클라이언트 접속을 멈추면 5분정도 뒤에 replicas 개수가 줄면서 scale in 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