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구조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처음 VPC 메뉴로 들어가면 IPv4 CIDR가 172.31.0.0/16을 가지는 Default VPC가 기본적으로 있다.
우측 상단의 노란색 버튼의 VPC 생성을 누르자.
다음과 같이 빈칸을 작성하고 VPC 생성 버튼을 누른다.
VPC가 잘 생성됐다.
라우팅 테이블 같은 경우는 VPC를 생성하면 자동적으로 라우팅테이블 1개를 생성해준다.
인터넷 게이트웨이는 VPC를 생성해도 새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자동적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엔드포인트도 자동적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NAT 게이트웨이도 자동적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새VPC가 생성되면 NACL은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보안 그룹도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정리하자면 새 VPC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생성 | 자동 생성X |
라우팅 테이블 | 인터넷 게이트웨이 |
NACL | 엔드포인트 |
보안 그룹 | NAT 게이트웨이 |
이제 새 서브넷을 만들어보자.
상단의 서브넷 생성을 누르자.
VPC ID 선택창에서 아까 생성한 fastcampus-customvpc를 선택한다.
서브넷 설정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 후(서브넷 이름은 fastcampus-public-subnet으로 수정) 서브넷 생성을 누르면 public-subnet이 생성된다.
이제 pritvate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다시 서브넷 생성을 누르자.
똑같이 fastcampus-customvpc를 고르고
다음과 같이 빈칸을 작성한 후 서브넷 생성을 누르자.
이로써 public, private subnet을 만들었다.
따라서 오늘은 이 그림에서 VPC와 그에 맞는 public, private subnet을 만들었다.
다음 포스팅에는 NACL과 Route Table, 인터넷 게이트웨이 등을 소개한다.
'AWS >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CL 설정하기1 (0) | 2022.01.03 |
---|---|
Internet Gateway과 라우팅 테이블 생성 (0) | 2022.01.03 |
AWS 네트워킹의 동작원리 (0) | 2021.12.29 |
네트워킹의 기본 (0) | 2021.12.29 |
AWS의 주요 서비스 소개 (0) | 202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