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ami를 만드는 과정은 생각보다 오래 걸린다.
만약 프로비저닝 코드가 실패하고 수정을 거쳐 다시 빌드를 한다면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빠르게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패커의 디버깅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packer/04-provisioner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main 파일을 보면 breakpoint라는 provisioner를 이용하는 팁이 있다.
breakpoint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엔터 입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중간에 설정한 breakpoint까지 진행되고 나서 사용자는 aws 콘솔로 들어가서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packer build -debug 명령어를 통해 디버그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는 패커가 실행하는 모든 단계가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한다.
반응형
'AWS > Part 4. Ch03 패커를 이용한 머신 이미지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03_10 패커 CLI 사용 방법 (0) | 2022.06.08 |
---|---|
CH03_08 후 처리기 (Post-processor) (0) | 2022.06.07 |
CH03_07 데이터 소스 활용 (Data-source) (0) | 2022.06.07 |
CH03_06 프로비저너 (Provisioner) (0) | 2022.06.07 |
CH03_05 선택적 빌드 (only & except)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