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테라폼 클라우드 사용 및 아틀란티스에 대해 알아보자
테라폼 클라우드란 테라폼 원격 저장소이다.
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을 하면 본인만의 organization을 만들어야 한다.
organization을 만들면 대시보드가 아래와 같이 나온다.
workspaces는 전에 만든 "shlee3048"이라는 organization의 워크스페이스 관리 메뉴이고
registry는 public한 테라폼 registry와는 달리 "shlee3048" organization만 접근할 수 있는 private한 registry이다.
Settings에서 Providers의 Add VCS Provider는 깃허브 계정과 연동을 시킬 수 있다.
깃허브에 HCL로 작성된 테라폼 모듈이 있다면 쉽게 registry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테라폼 관련 오픈소스중 가장 인기가 많은 도구인 아틀란티스에 대해 알아보자
아틀란티스는 깃허브에서 찾을 수 있다.
https://github.com/runatlantis/atlantis
GitHub - runatlantis/atlantis: Terraform Pull Request Automation
Terraform Pull Request Automation. Contribute to runatlantis/atlanti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테라폼 아틀란티스는 깃허브나 깃랩과 같은 버전 컨트롤 시스템 상에서 코드리뷰를 진행할 때
테라폼을 integration해서 pull request에서 terraform plan 결과를 확인하고 사람들이 코드리뷰를 approve 함에 따라 terraform apply까지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TmIPWda0IKg
'AWS > Part 4. Ch02 테라폼을 이용한 인프라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02_18. 테라폼 Provisioner와 EC2 Userdata (0) | 2022.06.14 |
---|---|
CH02_17. 테라폼 워크스페이스 디렉토리 구성 전략 (0) | 2022.06.04 |
CH02_16. 테라폼 terraform_remote_state 데이터소스 활용 (0) | 2022.06.04 |
CH02_15. 테라폼 모듈 작성 방법 (0) | 2022.06.04 |
CH02_13. 테라폼 워크스페이스 관리 (0) |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