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시간에 배웠던 리눅스 시스템 부팅순서를 보면 아래와 같다.
1. BIOS 에서 하드웨어 검사 후 부팅 기기 선택 및 파티션 식별
2. 부트로더에서 커널 선택 및 커널 로드
3. 커널 자료구조 초기화 및 시작 서비스 구동
이번에는 시작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시작서비스
- 시스템 구동 시 최초로 실행되는 사용자 레벨 프로세스(pid 기준으로 1번)
-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각종 스크립트를 실행 (실행 레벨/모드이나 배포판에 따라 차이가 있음)
. 컴퓨터 이름 설정
. 타임존 설정
. fsck로 디스크 상태 확인
. 파일시스템 마운트
. /tmp 디렉토리의 오래된 파일 삭제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 패킷 필터 설정
. 네트워크 서비스 시작
. 기타 데몬 시작
실행레벨
실행 레벨 / 오퍼레이팅 모드
- 운영체제가 부팅 이후의 머신 상태를 결정
->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인지 결정
- 예, single user – 파일시스템 마운트, 네트워크 비활성화, 시스템 관리용 쉘 접근
- 예, multi-user – 일반적인 사용자 접근
- SysV에서는 run level 개념 사용, systemd 에서는 오퍼레이팅 모드 개념 사용
init 프로세스
systemd:
기존 init 프로세스보다 더 넓은 범위의 기능을 제공
공격 포인트 -> Unix 철학 “단순하고 짧고 명료하고 모듈 방식의 확장”과 상충
Red Hat, Debian, Ubuntu에서 기본 init 프로세스로 선택되면서 논란의 종지부
반응형
'리눅스 > Part3. Ch01. 부팅 및 시스템 관리 데몬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실습) 시스템 부팅시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설정 (0) | 2022.07.16 |
---|---|
04. 시스템 재부팅 및 종료 (0) | 2022.07.16 |
03. systemd 소개 (0) | 2022.07.16 |
01. 부팅 프로세스 이해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