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실습용 스크립트 파일 작성 (10초마다 시스템 상황을 uptime.log파일에 저장)
- sudo vi /usr/local/bin/uptime-logger
#!/bin/sh
while :
do
echo $(/bin/date) - $(/usr/bin/uptime) >> /tmp/uptime.log
sleep 10
done
2. systemd 서비스 생성 -> service 타입의 Unit파일 생성
- sudo vim /etc/systemd/system/uptime-logger.service
[Unit]
Description=systemd practice.
[Service]
ExecStart=/bin/sh /usr/local/bin/uptime-logger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3. systemd 데몬 리로드 (systemd 목록 수정시 항상 실행)
systemctl daemon-reload
4. uptime-logger.service 시작
sudo systemctl start uptime-logger.service
5. 시작 서비스에 my_uptime.service 등록
sudo systemctl enable uptime-logger.service
6. 시스템 재시작
sudo reboot
7. 서비스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uptime-logger.service
+) 서비스 제거
- 설치 역순으로 진행
sudo systemctl disable uptime-logger.service
sudo systemctl stop uptime-logger.service
sudo rm /etc/systemd/system/uptime-logger.service
sudo rm /tmp/uptime.log
sudo systemctl daemon-reload
반응형
'리눅스 > Part3. Ch01. 부팅 및 시스템 관리 데몬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 시스템 재부팅 및 종료 (0) | 2022.07.16 |
---|---|
03. systemd 소개 (0) | 2022.07.16 |
02. 시작 서비스의 이해 (0) | 2022.07.16 |
01. 부팅 프로세스 이해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