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따배쿠

[따배쿠] 3-2. kubectl command / pod 생성하기

by Engineer-Lee 2022. 11. 1.
반응형

kubectl api-resources

오브젝트들의 종류와 약어를 출력한다.

ex) kubectl get po 는 kubectl get pods와 같다.

 

 

 

kubectl --help

kubectl의 명령어 도움말

ex) kubectl logs --help 는 logs에 관한 도움말이다.

 

kubectl get nodes

node들의 정보를 출력한다.

ex) kubectl get nodes -o wide 는 node들의 정보를 자세히 출력한다.

 

kubectl describe node [node 이름]

node의 정보를 아주 자세히 출력한다.

 

 

 

kubectl run [pod 이름] --image=[이미지 종류] [옵션]

pod를 생성하여 실행한다.

ex)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ex)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dry-run -o yaml > webserver-pod.yaml

실행할 수 있는 pod를 --dry-run 옵션으로 확인한 후 쿠버네티스가 사용할 수 있는 webserver-pod.yaml 이라는 파일을 생성한다.

그 후 vi 에디터로 webserver-pod.yaml를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kubectl create deployment [pod 이름] --image=[이미지 종류] [옵션]

pod를 생성시킨다.

ex) kubectl create deployment mainui --image=httpd --replicas=3 은 아파치 이미지 pod를 mainui라는 이름으로 3개 생성한다.

 

 

 

 

kubectl exec [pod 이름] [옵션]

컨테이터 속으로 접속할 수 있다.

ex) kubectl exec webserver -it -- /bin/bash 는 이전에 생성한 nginx pod인 webserver에 접속한다.

 

kubectl logs [pod 이름]

컨테이너에 접속한 기록을 볼 수 있다.

 

kubectl port-forword [pod 이름] [포트번호]

컨테이너를 포트포워딩 할 수 있다.

 

 

 

kubectl edit deployments.apps [pod 이름]

deploy한 pod를 편집한다.

ex)

replicas를 3 대신 2로 수정하면 mainui는 2개로 줄어든다.

 

 

 

 

kubectl delete pod [pod 이름]

pod를 삭제한다.

ex)

 

 

 

kubectl create -f [yaml 파일 이름] 

yaml파일을 이용해서 pod를 생성한다.

ex) kubectl create -f webserver-pod.yam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