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espace
클러스터 하나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눠서 사용
kubectl get namespaces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를 출력한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pod를 생성하면 디폴트로 설정된 네임스페이스에 생성된다.

--namespace 옵션은 -n 으로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nginx.yaml 파일을 작성한다.

kubectl create -f nginx.yaml 명령어로 pod를 실행시키고 kubectl get pods -n default로 확인 가능하다.

kubectl create namespace [namespace 이름]
새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namespace 이름] --dry-run -o yaml > [파일이름].yaml
새 네임스페이스를 생성시키는 yaml파일을 만든다.

orange-ns.yaml파일을 위와 같이 수정한다.
kubectl create -f [파일이름]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f nginx.yaml -n blue
kubectl get pods -n blue
blue라는 네임스페이스에 nginx pod를 실행시키고 blue 네임스페이스의 pod를 출력한다.

nginx.yaml에 namespace를 설정하면 namespace옵션을 넣어주지 않아도 저절로 지정된 namespace에 파드가 생성된다.

기본 namespace를 switch하려면 context를 config에 추가해야 한다.
kubectl config view
쿠버네티스의 설정파일을 보여준다.

kubectl config set-context [이메일 주소] --cluster=kubernetes-admin --namespace=[이름]
새 네임스페이스에 새 context를 추가한다.

kubectl config current-context
현재 config context를 보여준다.
kubectl config use-context [이메일 주소]
기본 네임스페이스를 default 네임스페이스 대신 blue 네임스페이스로 바꾼다.

kubectl delete pods mypod -n default
default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mypod라는 이름의 pod를 삭제함
kubectl delete namespace [네임스페이스 이름]
네임스페이스를 삭제함

'따배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따배쿠] 5-1-2. 쿠버네티스 Pod - Pod 동작 flow (0) | 2022.11.01 |
|---|---|
| [따배쿠] 5-1-1. 쿠버네티스 Pod - Container 정리와 Single / Multi Container Pod 생성 (0) | 2022.11.01 |
| [따배쿠] 4-3.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 yaml템플릿과 API (0) | 2022.11.01 |
| [따배쿠] 4-1.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 Kubernetes 동작원리 (0) | 2022.11.01 |
| [따배쿠] 3-2. kubectl command / pod 생성하기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