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plicaSet이라는 컨트롤러는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와 같이 파드의 개수 보장한다는 점에서 성격은 동일하다.
특징은 풍부한 셀렉터
다양한 형태의 셀렉터를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셀렉터를 여러 개 쓰면 and 조건으로 들어간다.

rs-nginx.yaml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kubectl create -f rs-nginx.yaml로 실행하면 3개의 pod가 생성된다.

kubectl get replicaset 또는 kubectl get rs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scale rs rs-nginx --replicas=2를 통해 컨트롤러를 삭제하면 관리되고 있는 파드도 삭제되지만
kubectl delete rs rs-nginx --cascade=false를 하면 pod는 살아있고 컨트롤러만 죽는다.
-> 아무도 컨트롤하지 않는 단독 파드로 바뀜

레이블 셀렉터 기준으로
2개는 레플리카셋 1개는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블을 잘 써야한다.
반응형
'따배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따배쿠] 6-4. 쿠버네티스 DaemonSet! + RollingUpdate (0) | 2022.11.05 |
|---|---|
| [따배쿠] 6-3. 쿠버네티스 RollingUpdate를 위한 Deployment (0) | 2022.11.05 |
| [따배쿠] 6-1 Controller - ReplicationController란? (0) | 2022.11.05 |
| [따배쿠] 5-7 쿠버네티스 Pod - Pod 환경변수 설정과 실행 패턴 (0) | 2022.11.03 |
| [따배쿠] 5-6 쿠버네티스 Pod - Pod에 Resource 할당하기 (CPU/memory requests, limits) (0) | 202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