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aemonSet이란
- 노드당 1개씩의 pod를 보장해주는 컨트롤러이다.
- 로그 수집기, 모니터링 에이전트들은 노드당 한개씩 운용되기 때문에 데몬셋이 필요하다,
- 따로 레플리카스 지정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노드당 1개 파드 보장한다.

daemonset-exam.yaml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kubectl create -f daemonset-exam.yaml 로 데몬셋을 실행하면 node1과 node2에 파드가 하나씩 생성된다.

만약 노드가 만들어지면 자동으로 새 노드에 새 파드도 데몬셋에 의해 생성된다.
노드가 삭제된다면 그 노드의 파드도 당연히 삭제된다.
edit와 undo명령어로 버전 변경하여 롤링업데이트, 롤백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kubectl edit daemonsets.apps daemonset-nginx로 편집모드에 들어가서 nginx:1.15로 수정한다.
그럼 자동적으로 1.15버전으로 업데이트 된다.
그리고 kubectl rollout undo daemonset daemonset-nginx로 1.14버전으로 롤백할 수 있다.
kubectl delete daemonsets.apps daemonset-nginx로 운영 중인 데몬셋을 삭제할 수 있다.
반응형
'따배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따배쿠] 6-6. 쿠버네티스 Job Controller (1) | 2022.11.05 |
|---|---|
| [따배쿠] 6-5. 쿠버네티스 StatefulSet (0) | 2022.11.05 |
| [따배쿠] 6-3. 쿠버네티스 RollingUpdate를 위한 Deployment (0) | 2022.11.05 |
| [따배쿠] 6-2. ReplicaSet(ReplicationController와의 차이점은?) 쿠버네티스 pod 개수 보장 (0) | 2022.11.05 |
| [따배쿠] 6-1 Controller - ReplicationController란? (0) | 202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