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ervice 개념

한 노드에 작업을 몰아주는 것은 좋지 않다. 작업은 분산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Service api를 통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pod 그룹의 단일 진입점을 제공한다.
이는 pod들의 레이블을 보고 같은 것을 하나의 virtual ip(load balancer)로 묶는다. 이 기록은 etcd에 기록한다.
만약 파드가 추가로 생기면 이 또한 묶는다.

Service 타입
clusterIP(default)
- pod 그룹의 단일 진입점(virtual ip)생성
NodePort
- cluster ip가 생성된 후 모든 워커노드에 외부에서 접속가능 한 포트가 예약
LoadBalancer
-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aws, gcp, azure)나 오픈스택 클라우드에 적용
- loadbalancer를 자동으로 프로 비전하는 기능 지원
ExternalName
- 클러스터 안에서 외부에 접속 시 사용할 도메인을 등록해서 사용
- 클러스터 도메인이 실제 외부 도메인으로 치환되어 동작
반응형
'따배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따배쿠] 7-3. 쿠버네티스 Headless Service와 Kube Proxy 강좌 (0) | 2022.11.06 |
|---|---|
| [따배쿠] 7-2. 쿠버네티스 Service 4가지 종류 실습해보기 (0) | 2022.11.06 |
| [따배쿠] Appendix1. 멀티마스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multi-master - HA Kuberenetes cluster) 운영 (0) | 2022.11.06 |
| [따배쿠] 6-7. 쿠버네티스 CronJob (0) | 2022.11.05 |
| [따배쿠] 6-6. 쿠버네티스 Job Controller (1) | 202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