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러스터 ip가 없는 서비스로 단일 진입점이 필요 없을 때 사용한다.
이는 단일진입점을 만들긴 하지만 클러스터ip가 없다.
dns 레코드 가 core dns 에 등록하여서 pod에 대한 endpoint 를 dns resolving service로 요청이 가능하게 한다.
pop~.local 의 DNS주소를 부여해준다.

type이 따로 존재하는것이 아니라 clusterip: None을 해줘야한다. 아니면 random으로 ip하나 생성해준다.
headless-nginx.yaml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그리고 kubectl create -f headless-nginx.yaml로 실행하면 headless-service의 클러스터ip는 node인걸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endpoint 는 위의 pod 3개를 포함하고 있다. 즉 단일 진입점을 만들긴 한 것이다.
curl 10-36-0-1.default.pod.cluster.local을 입력하면 3번 째 pod에 요청한다.


kube-proxy는 iptables rule을 만들고 관리하고 port 접속을 listen한다.

ipvs는 별도의 지원 모듈을 설정한 후 사용 가능하다.
kube proxy는 service api 요청 시 iptables rule 생성과 클라이언트 연결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반응형
'따배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따배쿠] 9-1. kubernetes label 쿠버네티스 레이블 (0) | 2022.11.16 |
|---|---|
| [따배쿠] 8-1, 2 Kubernetes Ingress 개념과 Ingress Controller 설치 및 실습 - 웹페이지 구현 (1) | 2022.11.15 |
| [따배쿠] 7-2. 쿠버네티스 Service 4가지 종류 실습해보기 (0) | 2022.11.06 |
| [따배쿠] 7-1. 쿠버네티스 Service 개념과 종류! (0) | 2022.11.06 |
| [따배쿠] Appendix1. 멀티마스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multi-master - HA Kuberenetes cluster) 운영 (0)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