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각 노드의 스펙이 다를 때 쿠버네티스는 하드웨어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드 레이블로 각각의 노드들의 스펙을 레이블로 기록해둘 수 있다.


kubectl get nodes --show-labels 를 통해 노드들의 레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

노드1과 노드2에 레이블을 추가해보자
kubectl label nodes node1.example.com gpu=true disk=ssd
kubectl label nodes node2.example.com gpu=true


레이블이 추가 되었지만 찾기가 쉽지 않다.
이는 -L 옵션을 통해 쉽게 볼 수 있다.
kubectl get nodes -L disk,gpu

이제 실습을 진행해보자
nodeselector.yaml은 아래와 같다.

kubectl create -f nodeselector.yaml로 노드 셀렉터 파드를 동작시킨다.

node의 레이블이 gpu: "true"와 disk: ssd 인 노드는 node1이므로 node1에서 실행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노드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kubectl delete pod pod-nodeselector 을 입력한다.

반응형
'따배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따배쿠] 9-4. kubernetes Canary Deployment (0) | 2022.11.16 |
|---|---|
| [따배쿠] 9-3. kubernetes annotation (0) | 2022.11.16 |
| [따배쿠] 9-1. kubernetes label 쿠버네티스 레이블 (0) | 2022.11.16 |
| [따배쿠] 8-1, 2 Kubernetes Ingress 개념과 Ingress Controller 설치 및 실습 - 웹페이지 구현 (1) | 2022.11.15 |
| [따배쿠] 7-3. 쿠버네티스 Headless Service와 Kube Proxy 강좌 (0)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