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 IP
- 인터넷의 기반을 이루는 네트워킹 시스템
-> TCP/IP의 유연한 설계와 개방적이고 비독점적인 프로토콜 덕분에 인터넷 발전
- 특정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음
. 다른 네트워크 장비간 통신 (예, Cisco <-> Samsung)
. 다른 운영체제간 통신 (예, Windows <-> Linux)
. 다른 기기간 통신 (예, 휴대폰 <-> 네트워크 장비)
IP (Internet Protocol)
- 비신뢰성(unreliable), 비연결형(connectionless) 프로토콜
-> 연결 설정, 연결 종료의 과정 관리 없이 바로 데이터가 전송
- best-effort 방식의 전달
-> 최선은 다하겠지만, 전달을 못할 수도 있다
- 에러제어(오류 검출 및 제어)나 흐름제어(데이터 전송 흐름 제어) 없음
-> 에러 검출만 하고 에러 발견 시 패킷 폐기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신뢰성(reliable), 연결지향(connection-oriented) 프로토콜
-> 데이터의 안전한 도착을 확인(ACK 사용)하여 신뢰성 있는 전송
-> 연결 설정과 해제 과정이 존재. 연결확인 후 데이터 전송
- 양방향 데이터 전송, 흐름제어, 오류 수정 기반의 통신을 구현
-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해 포트 번호 사용
UDP:
- 비신뢰성, 비연결형 프로토콜. 흐름제어나 에러제어가 없음
-> 에러를 검출할 순 있지만, 에러 시 복구하지 않고 폐기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패킷 전송 시 실패나 에러나 진단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 (ping명령은 ICMP를 사용)
예, 특정 호스트로 패킷이 도달에 실패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를 Mac주소로 변환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IP 주소를 물리네트워크 주소(Ethernet)로 연결
IP 주소
- IPv4 vs. IPv6
- IPv4 : 기존 사용하던 IP 주소. 주소공간은 4바이트
- IPv6 : 시작은 IP 주소 고갈문제 해결, 빠르고 구현하기 쉽게 개선된 버전의 IP 주소, 주소 공간은 16 바이트
-> 모바일 단말기에서 IP 부족을 극복하고자 많이 사용
- 더이상 할당할 IPv4 주소 공간이 없다는 우려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을 사용해
머신들의 네트워크 전체를 단일 IPv4 주소 뒤에 숨김
가정에서 쓰는 AP에서도 연결된 장치들에 사설IP를 부여해서 사용
-> 사설 IP를 가지고 사용자의 접속 위치를 구분할 순 없음
아무 IP나 Private IP 대역으로 사용 가능한가요?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에서 지정한 Private IP 대역
* 나머지 대역은 Public IP로 사용
- 서브넷 주소설정(Subnetting)
. 조직의 내부 네트워크 구성에 적합하도록 네트워크 분리
. 주소 할당 효율성도 확보
예) 브로드캐스트 범위도 서브넷 내로 제한 가능
네트워크 주소 구분
. CIDR 표기법 : 클래스 없는 도메인 라우팅 기법.
넷 마스크에 의존해 네트워크와 호스트 경계를 정의
- 예) 128.138.243.0/26 -> 서브넷 마스크 26 bit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128.138.243.0/26 -> 2 ^6 = 64개 호스트 주소
128.138.243.0/26 ~ 128.138.243.63/26
128.138.243.64/26 ~ 128.138.243.127/26
128.138.243.128/26 ~ 128.138.243.192/26
128.138.243.192/26 ~ 128.138.243.255/26
라우팅
-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미로를 통과하도록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
-> 전 세계적으로 43억개 이상의 IP 주소를 사용 가능
- 효율적인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프로토콜
- IP 라우팅은 ‘Next Hop’ 라우팅
-> 어떤 지점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시스템은 최종 목적지까지의
패킷 전달을 위해 가야할 다음 호스트나 라우터만 결정 (<-->소스 라우팅은 이전 방식)
->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에 반응하고 수용
라우팅 프로토콜
-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 동일 그룹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
- Distance Vector Protocol
- Link State Protocol
-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 다른 그룹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
- BGP
자율 시스템 Autonomous System (AS)
: 동일한 라우팅 정책으로 하나의 관리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네트워크 -> 한 회사나 단체에서 관리하는 라우터 집단
호스트명과 IP 주소 할당
- 호스명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방법
. /etc/hosts 파일 사용
- 가장 오래되고 간단한 방법
- IP 주소와 이름을 명세
- 외부에 이름을 공개하지 않도록 매핑하는데도 사용 (예, 내부 모니터링 시스템)
. /etc/resolv.conf 파일 사용
- DNS 구성
- DNS 도메인들과 이름 검색을 위해 사용할 네임서버 주소를 나열
- 네임서버가 여러 개 존재할 때는 위에서부터 시도
- 설정 옵션
nameserver: 네임서버 주소
search: 자동으로 찾을 도메인 주소 입력 à abcde를 abced.ap-northeast-2.compute.internal로 검색
'리눅스 > Part3. Ch07. 네트워크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실습) Private Network내의 데이터베이스 연결 (0) | 2022.12.15 |
---|---|
05. (실습) AWS 클라우드에 네트워크 환경 구성 (0) | 2022.12.15 |
04. 클라우드 네트워킹 이해 (0) | 2022.12.15 |
03. DNS의 이해 (0) | 2022.12.15 |
02. iproute2의 이해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