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WS89

CH02_04.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환경변수 도커 컨테이너를 다룰때 환경변수를 넣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e 또는 --env 옵션을 이용하는 방법 두 번째는 --env-file 옵션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럼 바로 실습을 해보자 먼저 우분투 이미지에 bash쉘로 MY_HOST=fastcampus.com 이라는 환경변수를 대입해보자 echo $MY_HOST 명령어로 확인하면 fastcampus.com이 나오고 env 명령어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이번에는 --env-file 옵션 실습을 해보자 미리 준비해준 sample.env에는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 docker run -i -t --env-file ./sample.env ubuntu:focal env명령어를 실행하면 sample.env에 담긴 환경변수가 잘 대입된다. 추가로 도.. 2022. 6. 20.
CH02_03.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엔트리포인트와 커맨드 도커 엔트리포인트(Entrypoint)란 도커 컨테이너가 실행할 때 고정적으로 실행되는 스크립트 혹은 명령어로 생략할 수 있으며, 생략될 경우 커맨드에 지정된 명령어로 수행된다. 커맨드(Command)란 도커 컨테이너가 실행할 때 수행할 명령어 혹은 엔트리포인트에 지정된 명령어에 대한 인자 값이다. 위 도커파일로 부터 나오는 명령어는 docker-entrypoint.sh node 라는 명령어이다. 도커 명령어의 엔트리포인트와 커맨드를 전달하는 예는 아래와 같다. 이제 실습을 하기위해 ssh 연결을 해서 우분투 인스턴스에 접속하자 docker run ubuntu:focal 명령어를 입력하고 docker inspect [컨테이너 ID] 명령어로 도커 컨테이너의 세부사항을 보면 커맨드가 bash인걸 확인할 수.. 2022. 6. 20.
CH02_02.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컨테이너 라이프사이클 도커의 라이프사이클은 아래와 같다. 컨테이너 시작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도커 create / run 명령어 모두 이미지가 없을 경우 자동으로 pull을 먼저 수행하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이제 간단하게 실습을 진행해보자 이전에 테라폼을 이용하여 만든 우분투 인스턴스에 접속해보자 그리고 docker -v 명령어로 도커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docker ps 명령어는 실행 중인 도커 컨테이너 목록을 확인할 수 있고 docker ps -a 명령어는 모든 컨테이너 목록을 확인한다. 실행 중이지 않은 한 컨테이너가 있어서 docker rm [컨테이너 ID] 명령어로 삭제하였다. 그리고 docker run nginx 명령어로 도커 허브에 nginx 이미지의 최신 버전의 컨테이너를 생성시켰다. 이번에는 .. 2022. 6. 20.
CH02_01. 도커 이미지와 컨테이너 2022.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