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WS89

CH03_08 AWS Fargate을 통한 배포 ecs 클러스터를 생성하자 이제 ecs의 새 작업 정의를 생성하자 컨테이너는 추가를 해주자 이미지는 ECR 리포지토리에 있는 이미지 URI를 복붙한다. 컨테이너 추가의 나머지 설정들은 건들이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를 추가했으면 새 작업 정의의 나머지 설정은 건들이지 않고 바로 생성을 누른다. 그리고 작업 실행을 누르자 설정은 아래와 같다. 보안 그룹은 편집을 해서 default 보안 그룹을 선택했다. 이제 작업 실행을 누르자 작업이 잘 생성됐다. 작업 탭에서 작업을 누르면 작업이 실행중인걸 볼 수 있다. 이는 저 퍼블릭IP에 서비스가 배포된 것이다. 2022. 4. 28.
CH03_07 AWS ECR에 컨테이너 업로드 먼저 ec2인스턴스를 만든다. 이름은 docker-ECR 로 설정했다. putty로 접속해서 도커를 다운로드 받자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리고 sudo usermod -aG docker $USER로 도커의 권한을 등록한다. mkdir docker-server로 도커 서버폴더를 만들고 cd docker-server로 들어가서 git clone https://github.com/chlghgus10/fastcampus_test.git 으로 프로젝트를 다운받는다. 그리고 cd fascampus_test cd fascampus 로 폴더 안에 들어가서 vi Dockerfile로 파일를 만든다. 파일 안에는 아래 내용은 입력한다. FROM.. 2022. 4. 28.
CH03_06 Docker-Compose를 활용한 배포 docker ps 명령어로 컨테이너가 실행중인게 있는지 확인하고 sudo docker stop [컨테이너 ID] 명령어로 일단 켜진 컨테이너는 중지시키자. cd ..로 docker-django 폴더로 이동한다. 그리고 vi docker-compose.yml 으로 도커 compose 파일을 만든다. 파일 안에는 아래 코드를 입력한다. version: '3' services: nginx: container_name: nginx build: ./nginx image: docker-django/nginx restart: always ports: - "80:80" volumes: - ./fastcampus_test/fastcampus:/srv/docker-django - ./log:/var/log/nginx de.. 2022. 4. 28.
CH03_05 Nginx Docker Build 지금 시간에 만든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자 도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docker run -d -p 8000:8000 docker/django 명령어를 입력하자 어떤 도커의 컨테이너가 실행중인지는 docker ps 명령어로 볼 수 있다. 그리고 docker stop [컨테이너 ID] 를 입력해서 실행중인 도커 이미지를 끌 수 있다. 도커 이미지를 잠시 중지 시켜놓고 이번에는 Nginx 도커 이미지를 만들어보자 우선은 fastcampus_test폴더 안에 Dockerfile의 내용을 수정해야 한다. 맨 밑의 2줄은 필요가 없으므로 주석처리를 한다. 그 후 fastcampus 폴더 안에 vi uwsgi.ini 명령어로 파일을 하나 만든다. 파일안에 아래 내용을 붙여넣는다. [uwsgi] soc.. 2022. 4.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