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따배쿠/멤버십] 12-1. Pod Scheduling 파드를 스케줄링할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그때 사용되는 기술은 Node Selector Affinity & antiAffinity taint & toleration cordon & drain 으로 4가지 가 있다. 먼저 Node Selector에 대해 알아보자 Node Selector는 노드의 할당된 레이블을 이용해서 파드를 실행할 노드를 선택한다. 그림과 같이 3개의 노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각 노드의 하드웨어 스펙이 같으면 좋겠지만 다른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우리가 k8s에 각 노드의 스펙에 대해 알려줘야한다. 알려주는 방법으로는 노드에 레이블을 붙여주는 것이다. kubectl label node node{1,2} gpu=true 를 통해 노드 1, 노드2에 gpu=true라는 레이.. 2022. 11. 19. [따배쿠] 11. Kubernetes Secret Kubernetes Secret Object 보안유지가 필요한 자격증명 및 개인 암호화 키( Password, API Key, ssh Key 등등 ) 같은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런 정보들은 컨테이너 안에 저장해두지 않고 별도로 보관해 두었다가 실제 Pod 가 실행될때 설정을 통해서 Container에 제공한다. ConfigMap과 사용법이 비슷하지만 좀 더 보안이 중요한 만큼 세분화된 사용법을 제공한다. genid-web-config 디렉토리 안에 nginx-config.conf 파일에는 nginx 웹서버의 구성정보가 담겨져있다. 다시 상위 디렉토리로 나와서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ttabae-secret --from-literal=INTERVAL=2 -.. 2022. 11. 17. [따배쿠] 10. Kubernetes ConfigMap configmap: 컨테이너 운영에 필요한 구성 정보를 한곳에 모아서 관리해주는 api text.file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 파일을 컨피그맵으로 등록하고 싶다면 kubectl create configmap CONFIG_NAME --from-file=text.file 을 입력하면 된다. https://github.com/237summit/Getting-Start-Kubernetes/tree/main/10 GitHub - 237summit/Getting-Start-Kubernetes: example yamls example yamls. Contribute to 237summit/Getting-Start-Kubernete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2022. 11. 16. [따배쿠] 9-4. kubernetes Canary Deployment 블루: 올드 버전 그린: 뉴 버전 파드를 배포하는 방법 블루 그린 업데이트 - 블루version 내리고 그린version 올리는 방법 카나리 업데이트 - 올드 버전 사이에 뉴 버전 하나 넣어서 모니터링하면서 배포하는 방법 롤링 업데이트 - 파드를 하나씩 하나씩 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 mainui-stable.yaml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kubectl create -f mainui-stable.yaml 로 파드를 실행해보자 stable 버전의 파드가 실행되는 걸 볼 수 있다. mainui-service.yaml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는 app가 mainui인 파드들을 하나의 단일 진입점으로 묶기위한 파일이다. kubectl create -f mainui-service.yaml 로 .. 2022. 11. 1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