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따배쿠] 9-3. kubernetes annotation 애노테이션은 쿠버네티스에게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도 하고 필요한 정보를 기록할 용도로 사용된다. 이는 마치 주석과 같은 역할은 한다. annotation.yaml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kubectl create -f annotation.yaml 로 애노테이션 파드를 실행한다. 그리고 kubectl describe pod pod-demo 를 입력하면 우리가 입력한 애노테이션 정보를 볼 수 있다. deployment.yaml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만약 rolling update를 한다고 하면 annotation은 히스토리를 위한 것이고 실제 업데이트는 image를 변경해서 다시 apply를 해야 rolling update가 진행된다. 즉, 관리자는 annotation을 편집해서 히스토리도 남기고 ap.. 2022. 11. 16.
[따배쿠] 9-2. kubernetes node label 각 노드의 스펙이 다를 때 쿠버네티스는 하드웨어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드 레이블로 각각의 노드들의 스펙을 레이블로 기록해둘 수 있다. kubectl get nodes --show-labels 를 통해 노드들의 레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 노드1과 노드2에 레이블을 추가해보자 kubectl label nodes node1.example.com gpu=true disk=ssd kubectl label nodes node2.example.com gpu=true 레이블이 추가 되었지만 찾기가 쉽지 않다. 이는 -L 옵션을 통해 쉽게 볼 수 있다. kubectl get nodes -L disk,gpu 이제 실습을 진행해보자 nodeselector.yaml은 아래와 같다. kubectl create -.. 2022. 11. 16.
[따배쿠] 9-1. kubernetes label 쿠버네티스 레이블 레이블은 리소스들 목적과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레이블과 셀렉터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kubectl run cmdpod --image=nginx:1.14 --port=80 로 nginx pod하나를 실행시키고 pod1.yaml 와 pod2.yaml 파일을 만든다. kubectl create -f pod1.yaml -f pod2.yaml 로 pod를 실행한다. 그럼 3개의 pod가 실행중인걸 볼 수 있다. 여기서 kubectl get pods --show-labels 을 입력하면 레이블 정보를 볼 수 있다. kubectl get pods -l name=mainui 로 셀렉터를 이용하여 레이블 명이 mainui인 pod를 볼 수 있다. 이는 kubectl get pods --selector name=.. 2022. 11. 16.
[따배쿠] 8-1, 2 Kubernetes Ingress 개념과 Ingress Controller 설치 및 실습 - 웹페이지 구현 앞단에서 서비스를 ingerss rules 를 통해 포워딩 해주는 역할을 해준다. 여러가지 오픈소스들이 존재한다. 설치 https://kubernetes.github.io/ingress-nginx/deploy/#aws Installation Guide - NGINX Ingress Controller Installation Guide There are multiple ways to install the NGINX ingress controller: with Helm, using the project repository chart; with kubectl apply, using YAML manifests; with specific addons (e.g. for minikube or MicroK8s). On .. 2022. 1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