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CH02_09. 도커 이미지 다루기- 이미지 빌드 도커 이미지 구조는 아래와 같다. 이제 도커 이미지 구조를 실습환경에서 확인하자 docker images 명령어는 도커에 보관 중인 이미지 목록을 보여준다. 도커 이미지를 build 하는 방법으로는 dockerfile없이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과 dockerfile을 이용하여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dockerfile없이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분투 컨테이너를 하나 실행하고 my_file에 "Hello Fastcampus!"라는 텍스트가 담긴 파일을 생성하자 이제 docker commit 명령어로 해당 컨테이너를 이미지로 저장하자 -a 옵션은 누가 변경점을 만드는지 기록을 남길 수 있고 -m은 커밋메시지이다. docker image inspect my-ubuntu 명령어로 이미지의 .. 2022. 6. 21. CH02_08.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로그 첫 번째로 표준 출력과 표준 오류는 아래와 같다. 두 번째는 로그 확인하는 방법이다. 먼저 nginx 컨테이너를 하나 실행시킨다. 그리고 docker logs로 로그를 확인한다. 여기서 --tail 옵션으로 5줄만 확인할 수도 있다. -f 옵션으로는 실시간 로그를 볼 수 있다. -t 옵션으로는 각각의 로그행이 언제 발생했는지 타임스탬프가 생긴다. 세 번째로 호스트 운영체제의 로그 저장 경로이다. 이 경우는 로그 드라이버를 json-file로 했을 때 유효하다. 현재 nginx 컨테이너가 하나 실행 중이고 루트 권한이 필요하기에 사용자를 루트로 전환한다. 그리고 도커 디렉토리 안에 컨테이너 디렉토리 안에 컨테이너 iD로 구성된 디렉토리가 있고 여기 안에는 컨테이너의 로그가 담긴 json.log 파일이 있다.. 2022. 6. 21. CH02_07.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볼륨 도커 레이어 아키텍처 아래와 같다. 컨테이너 상에서 볼륨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호스트의 디렉토리를 컨테이너의 특정 경로에 마운트하는 방법이다.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git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먼저 스크립트를 보기 전에 컨테이너 볼륨을 이용하지 않는 예시를 보자 docker run -d -it ubu.. 2022. 6. 21. CH02_06.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네트워크 컨테이너의 포트를 호스트의 IP:PORT와 연결하여 서비스를 노출하는 명령어 직접 실습을 해보자 첫 번째로 docker run -d -p 80:80 nginx 명령어로 모든 IP의 80번 포트에 대해 컨테이너의 80번으로 맵핑된다. 두 번째로 docker run -d -p 80 nginx 명령어로 컨테이너 포트만 지정하면 호스트 IP의 49155포트로 연결된 걸 볼 수 있다. 세 번째는 docker run -d -p 127.0.0.1:80:80 nginx 명령어로 ec2 인스턴스의 private ip나 public ip가 아닌 로컬 호스트의 80번 포트와 컨테이너의 80번 포트를 맵핑했다. 다음으로 expose와 publish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 expose 명령어를 이용해서 컨테이너를 실행시켜보면 8.. 2022. 6. 20.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