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CH04_07. 변수 (Variables) 이번 시간에는 앤서블 변수에 대해 알아보자 아래 링크는 앤서블 변수에 대한 공식 문서이다. https://docs.ansible.com/ansible/latest/user_guide/playbooks_variables.html Using Variables — Ansible Documentation Using Variables Ansible uses variables to manage differences between systems. With Ansible, you can execute tasks and playbooks on multiple different systems with a single command. To represent the variations among those different .. 2022. 6. 17. CH04_06. 핸들러 (Handler) 이번 시간에는 앤서블 핸들러에 대해 알아보자 핸들러란 이벤트 기반으로 동작하는 task이다. 예를 들어 a라는 task가 실행될 때에만 b task를 실행하는 동작이다. 대표적으로는 nginx 같은 웹서버에서 서버 설정이 변경될 때이다.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ansible/05-handler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 링크.. 2022. 6. 17. CH04_05. 모듈 (Module) 이번 시간에는 앤서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듈에 대해 알아보자 모듈은 task에서 호출하는 함수와 같다. 따라서 앤서블에서 제공하는 built-in 모듈과 커뮤니티 모듈들이 다양하다. https://docs.ansible.com/ansible/latest/collections/ansible/builtin/index.html#plugins-in-ansible-builtin Ansible.Builtin — Ansible Documentation © Copyright Ansible project contributors. Last updated on Jun 06, 2022. docs.ansible.com 공식 문서에서 여러 모듈에 대한 파라미터 정보가 있고 본인의 유즈케이스와 유사한 예시를 사용하면 유용하다.. 2022. 6. 16. CH04_04. 플레이북 (Playbook) 이번 시간에는 앤서블 플레이북에 대해 알아보자 플레이북은 yaml파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yaml파일의 구문을 알기 위해 syntax.yaml 파일을 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ansible/03-playbook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플레이란 특정 호스트 목록에 대해서 수행되는 작업 목록이다. 그리고 플레이북이란 플레.. 2022. 6. 16.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