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CH02_02. 테라폼 다루어보기 워크스페이스란 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프로젝트 단위이다. 서비스가 소규모일 때는 한 개의 워크스페이스로 전체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지만 서비스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관리해야 하는 인프라 규모가 커지면 여러 워크스페이스를 통해 관리하게 된다. (ex: infra-> network, account, domain, service a, service b 등) 테라폼은 인프라의 이전 상태를 기록하고 이 파일은 워크스페이스 단위로 생성된다. 또한 이전 상태와의 변경사항을 추적하여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다. 이제 테라폼 실습을 해보자 우선 WSL을 열고 원하는 디렉토리에 code. 명령어를 쳐서 vs code를 열어서 main.tf 파일을 생성하자 이제 테라폼 registry를 선택해야 한다. https://.. 2022. 5. 18.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만들기 5 만약 업로드된 물품이 하나도 없을 시 물품을 등록해달라는 문구를 홈페이지에 띄어진다면 사용자가 빈 홈페이지를 보는 것보다 덜 어색함을 느낄 것이다. 따라서 업로드한 물품 데이터를 먼저 삭제해보겠다. 장고 관리자 페이지에서도 삭제할 수 있지만 이번엔 장고ORM을 이용해서 지워보자 python manage.py shell 로 쉘을 열고 from store.models import Item 으로 Item 모델을 불러온다. Item.objects.all().delete() 으로 모든 게시물을 삭제한다. 이제 item_list.html에 물품을 등록해달라는 문구를 넣는다, 업로드된 물품이 있을 때는 기존 코드가 수행되고 물품이 없을 때 등록된 물품이 없다는 글이 출력된다. 이번에는 http://127.0.0.1:.. 2022. 5. 17.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만들기 4 이제 업로드 된 물품정보를 수정하는 페이지를 만들어보자 urls.py에서 path('item//edit', views.item_update, name='item-update'), 부분의 주석처리를 해제한다. item_detail.html 파일에서 수정하기 버튼을 만들자 그리고 views.py에서 item_update 함수를 만들자 수정하기 위한 item id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forms.py에 있는 ItemForm 클래스의 instance에 넣어주면 수정하기 편하게 기존 정보들이 입력란에 띄어져서 사용자가 기존 정보들을 처음부터 다시 작성할 필요없다. 사용자가 수정을 마치고 post방식으로 데이터를 보내주면 form태그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이 유효성 검사를 마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 세.. 2022. 5. 16.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만들기 3 이번에는 form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물품 정보를 서버에서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해보자 먼저 forms.py를 작성한다. 모델폼을 이용해 원하는 필드의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바인딩 해준다. 그리고 urls.py에서 path('item/new/', views.item_create, name='item-create'), 부분의 주석처리를 해제한다. 이제 views.py에서 item_create 함수를 작성한다. from .forms import ItemForm을 통해 forms.py에 있는 itemForm클래스를 import한다. 유저가 새 상품을 업로드하기 위해 get방식으로 상품 입력란을 불러온다면 item_form 변수에 받아 item_form.html 파일로 넘겨준다. item_form.htm.. 2022. 5. 16.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