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CH02_07. 테라폼 HCL count와 for_each 이번에는 count를 알아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blob/main/2-terraform/06-count-for-each/main.tf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count나 for_each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IAM user 3명을 만들고 output으로 출력하는 예제이다. 이렇게 반복되는 코드를 count를 이용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간단.. 2022. 6. 2. CH02_06. 테라폼 HCL variable & local & output 첫 번째로 variable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모듈 강의에서 사용했던 코드에서 약간 수정해보았다. variable 지시어를 사용하고 블록 레이블로 "vpc_name"이라는 변수의 이름을 지정했다. 블록의 모든 인자 값들은 optional 하기에 지정하지 않아도 바로 사용 가능하다. 자주 사용하는 인자 값으로는 default, type, description 이 있다. variable값을 참조할 때는 var.vpc_name처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terraform apply를 하면 vpc가 잘 생성된다. 또 다른 변수를 주입하는 방법도 알아보자 변수를 적용하는 데는 다음 순서대로 적용이 된다. 1. 환경변수 2. terraform.tfvars 파일 3. terraform.tfvars.json 파일 .. 2022. 6. 2. CH02_05. 테라폼 HCL module 테라폼 모듈은 테라폼 코드 상에서 하나의 블록으로 작성된 코드 그룹을 재사용할 수 있다. 아래 링크에는 테라폼 모듈별로 코드가 있고 https://github.com/tedilabs Tedilabs Design the world with technology. Tedilabs has 18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다음 링크에 각 강의에 대한 코드가 있다.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terraform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2022. 6. 2. CH02_04. 테라폼 HCL resourece와 data 이번에는 Resource, Data를 이용하여 AWS EC2 Ubuntu를 생성해보자 Resource 블록은 지시어로 resource를 사용하고 블록레이블을 두 가지 지원한다. 첫 번째 레이블은 리소스의 종류이고 두 번째 레이블은 리소스 블록의 이름이다. 아래 링크에 예제 코드가 있다.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aws/latest/docs/resources/instance Terraform Registry registry.terraform.io 위 코드를 복붙 하고 조금 수정하자 provider는 aws로 리전은 서울로 설정했다. 리소스 블록을 보면 리소스 이름으로 네이밍을 "ubuntu"로 하였다. ami는 우분투 20.04의 ami id.. 2022. 5. 31.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