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CH03_04 Django Docker Build django에 대한 도커 컨테이너와 nginx에 대한 도커 컨테이너를 만들어서 그 두개의 도커 컨테이너를 한번에 실행시키는 docker compose파일을 만들어서 실행할 계획이다. 이번 시간엔 django에 대해 도커 컨테이너를 하나 만들어보자 일단 ubuntu 20.04버전의 ec2를 하나 생성한다. 그리고 접속해서 rsa 키를 만들어서 git clone으로 프로젝트를 다운받는다.(다운 받을 때 .ssh파일에 다운받으면 파일이 안보이니까 cd 쳐서 기본 바탕화면에 다운받자) 다운 받은 프로젝트의 requirements.txt 파일에 uwsgi를 추가한다.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명령어를 입력한다. 다운이 완료되면 sudo usermod -aG .. 2022. 4. 27. 3. 개발 결과를 EC2에 배포하기 ec2인스턴스에 접속한 뒤 pip3 install pymysql 명령어를 입력하자 우선 프로젝트가 올라간 github repository의 Settings로 들어가면 Security 메뉴에 Deploy keys를 추가해야 한다. rsa key를 생성하기 위해 전에 만든 public subnet에 있는 ec2 인스턴스에 접속을 해서 ssh-keygen -t rsa 명령어를 입력하자 그 후 엔터를 한번 치고 비밀번호를 설정하자(여기선 f4d3s2a1으로 설정했다.) 이제 ssh 폴더로 들어가보면 rsa 파일이 잘 생성된걸 볼 수 있다. cat 명령어로 deploy key값을 볼 수 있다. 위 값을 복사해서 github에서 deploy key 값에 붙여넣는다. 새 키가 잘 생성됐다. 다시 ec2 인스턴스로 가.. 2022. 4. 26. CH01_02 IaC - 형상 관리 - 이미지 빌드 2022. 4. 21. AWS NAT 게이트웨이 설정 +) 만약 private subnet에 ec2인스턴스가 있고 ec2인스턴스에 mysql등을 다운하려하면 다운이 되질 않는것을 볼 수 있다. 이는 private subnet과 외부 인터넷이 통신할 수 있는 NAT 게이트웨이가 없어서 그렇다. 따라서 private subnet과 접속하기위해 public subnet에 NAT 게이트웨이를 생성해서 접속해보자 서브넷은 public subnet에 연결해야 한다. 또한 private subnet의 라우팅 테이블을 수정해야 한다. 10.0.0.0/16 이외의 트래픽은 모두 NAT 게이트웨이로 보내서 private subnet의 ec2인스턴스에서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2022. 4. 21.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