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2. VPC 구성하기2 이제 NACL을 설정해보자 NACL은 VPC를 생성할 때 하나가 기본적으로 생성된다. 자동 생성된 NACL은 private VPC를 위해 사용하고 public VPC를 위한 새로운 NACL을 생성해보자 잘 생성 됐다. 이제 두 NACL에 적절한 서브넷을 연결해줘야 한다. 서브넷 연결 편집에 들어가자 public subnet과 연결을 한다. 그럼 나머지 private NACL은 private subnet과 연결이 된다. 이제 public NACL의 인바운드 규칙을 편집해보자 (NACL은 stateless하기에 인바운드 규칙과 아웃바운드 규칙을 정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22번, 80번, 443번 포트에 대해 모든 소스로 부터 허용하여 SSH, HTTP, HTTPS 접속을 받는다. 규칙 번호가 작을수록 우선.. 2022. 4. 21.
1. VPC 구성하기1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Flask simple Todo App를 아래와 같은 인프라를 구축하여 배포하는 것이다. 그림~ VPC구성은 다음과 같이 할 예정이다. public subnet에서는 서버가 돌아갈 ec2인스턴스가 있고 private subnet에는 RDS인스턴스가 있을 것이다. 우선 VPC를 생성하기 위해 aws VPC 관리콘솔로 들어가자 지금 현재 있는 VPC는 default VPC이다. 새 Custom VPC를 만들어보자 IPv4 CIDR 블록은 10.0.0.0/16으로 설정하였고 IPv6 CIDR 블록은 따로 만들지 않았다. 테넌시 기본은 공유 하드웨어로 AWS IDC센터 어디든 해당 VPC가 위치할 수 있다. 테넌시 전용같은 경우는 고객이 쓰는 하드웨어가 전용 하드웨어에서 실행된다. 그러나.. 2022. 4. 21.
CH02_27 오토스케일링 설정 (AWS Autoscaling Group 와 AMI) 1. 전에 만든 nginx-test ec2인스턴스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자 2. 시작 템플릿을 생성한다. 세팅은 아래와 같다. 3. 대상그룹을 만든다. 세팅은 아래와 같다. 4. 로드밸런서를 만든다. 세팅은 아래와 같다. 5. Auto Scaling 그룹을 생성한다. 설정은 아래와 같다. 알림은 추가하면 이메일 등으로 오토스케일 상황을 알 수 있다. 이번엔 하진 않았다. 태그도 생성하지 않았다. 6. 이제 오토스케일링이 되는걸 볼 수 있다. 모니터링에선 cloudwatch을 통해 상황을 볼 수 있다. 2022. 4. 19.
CH02_26 어플리케이션 구동(Nginx, Gunicorn, Supervisor) 우리는 만약 AutoScaling 등으로 ec2 서버가 100개가 된다고 가정해보자 이미지를 통해 쉽게 갯수를 늘릴순 있겠지만 그 서버가 자동으로 실행되지는 않아서 일일이 들어가서 python manage.py runserver을 입력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Nginx같은 웹서버를 이용하여 ec2를 복제하면 자동으로 파이썬 파일들이 배포가 된다. gunicorn은 Django를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하다. 1. 새 ec2인스턴스를 만들자. 2. putty로 접속하자. 3. 아래 사진처럼 진행한다. vi dango_nginx/settings.py까지 왔다면 insert모드로 들어가 ALLOWED_HOSTS를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그런 후에 아래부분은 무시하고 python3 manage.py runserver.. 2022.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