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CH02_17 Django 개발 결과를 EC2에 배포하기 1. EC2 하나를 생성하자 Ubuntu 20.04 LTS 버전으로 만들었다. 키페어는 전에 만든 키페어를 사용했고 나머지는 기본 옵션 그대로 진행하자 2.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해 putty를 실행해서 Host Name에 ubuntu@[퍼블릭 IPv4 DNS 주소 넣기]를 입력하자 Connection 메뉴의 SSH의 Auth는 다음처럼 설정한다. Private key file은 전에 만들어둔 ppk파일을 이용하였다. 3. Session에서 project1이라는 이름으로 Save를 했다. 4. 이제 Open 버튼을 누르면 우분투가 잘 켜진다. 5. EC2 우툰부 인스턴스에서 apt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sudo apt-get update 와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 2022. 4. 18.
CH02_16 데이터베이스 구축(AWS RDS) 1. AWS RDS페이지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누른다 2.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한 후 생성 버튼을 누르자 3. 터미널 창에 pip install mysqlclient를 입력한다. 4. 생성된 RDS DB에 엔드포인트 주소를 복사하자 5. fastcampus\settings.py에서 80번 줄의 DATABASES를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HOST의 밸류값으로 아까 복사한 엔드포인트의 주소를 넣는다. 6. 터미널에 python manage.py migrate를 입력한다. 7. 터미널에 python manage.py runserver를 입력해보면 RDS로 DB가 잘 작동하는걸 알 수 있다. 2022. 4. 18.
CH02_11 Order 백엔드 개발2 1. menu_list.html을 적절히 수정해보자 2. views.py에서 menu도 수정하고 order함수도 만들자 이제 집주소 입력과 주문완료 기능이 생겼다. 3. 주문한 시간을 표시해보자 views.py의 order함수를 수정해보면 아래와 같다. 그리고 urls.py에 path도 추가하자 menu_list.html도 수정하자 4. 주문한 메뉴의 리스트를 볼 수 있게 하자 menu_list.html을 새로 만들어보자 order함수에 GET방식으로 접속했을 때 리스트를 볼 수 있어야 한다. 그 결과는 아래처럼 주문 건이 보인다. 하지만 이는 각 주문 건이 어떤 내용이 담겼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views.py의 order함수를 아래처럼 수정하자 2022. 4. 5.
CH02_10. Order 백엔드 개발1 1. order\serializer.py에 menuSerializer 클래스를 추가하자 2. order\views.py에 from order.serializers import ShopSerializer, MenuSerializer와 menu함수도 추가하자 3. order\urls.py에 path('menus/', views.menu), 를 추가한다. 4. insomnia에서 shop을 POST로 하나 추가하자 5. New request를 눌러 name은 menu로 정하고 POST로 http://127.0.0.1:8000/order/menus/ 주소로 식당에 대한 메뉴들을 넣자 GET 방식으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계속해서 3번 식당도 추가하자 5. 현재 우리의 views.py에 설계된 코드에 의하면 i.. 2022.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