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03. (실습) Ansible로 사용자 관리 실습 시나리오 - 기존: EC2 서버에 ubuntu 사용자로 키파일을 이용해 접속 - 추가: EC2 서버에 fast 사용자로 비밀번호를 이용해 접속 실습 내용 - 컨트롤 노드 구성 -> ansible 명령어 및 AWS 플러그인 설치 - 관리할 노드 구성 -> 동일한 서버 3대 생성 - 동적 인벤토리 구성 -> 태그 기반으로 호스트 그룹 구성 - 플레이북 구성 -> 로그인 유저 생성, sshd 설정 수정, sshd 서비스 재시작 - 테스트 -> 관리 노드에 신규 유저 및 비밀번호로 접속 운영환경에서는 반드시, 형상 관리 도구를 사용해서 SnowFlake 서버가 만들어지지 않도록 주의 [실습] Ansible로 사용자 관리 0. Ansible cli 도구 설치 python3 -m pip install --us.. 2022. 12. 18.
02. Ansible 살펴보기 2022. 12. 17.
01. Configuration Management의 이해 전통적인 시스템 관리 방법 - 장애가 발생할 때마다 자체 개발한 셸 스크립트로 처리 -> 급한 장애는 처리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재현할 수 없는 패키지 버전과 환경설정으로 변경 - 그 외에도 업그레이드 / 패치 작업등으로 서버들의 형상은 시간이 지날 수록 다른 모습이 됨 좀 더 나은 설정 방법 -> 환경 설정 관리 - 코드 형태로 원하는 상태를 관리 -> 수동으로 시스템 수정하지 않아야 함 - 코드는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관리 - 대부분의 환경 설정 관리 도구는 절차적이 아닌, 선언적 방식을 사용 -> 시스템 변경을 위한 개별 단계를 알려주는 방식이 아닌, 달성하려는 상태를 선언 - 대표적인 도구 : Ansible, Salt, Puppet, Chef 환경 설정 관리 도구의 주요 개념 - 오퍼레이션과 매.. 2022. 12. 17.
05. (실습) 리눅스 커맨드를 파이썬으로 구현 tail -f -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출력하는 명령 - -f 옵션: 추가된 데이터를 연속해서 출력 $ tail -f -> $ py_tail wc - 문자, 단어, 라인 수를 출력하는 명령 $ wc -> $ py_wc 실습: https://github.com/go4real/linux_campus/blob/main/Part3/Ch08_03/ssh_by_id.md [실습] 리눅스 커맨드 파이썬으로 구현 tail -f 구현하기 1. 파이썬 스크립트 작성 + vim py_tail #!/usr/bin/python3 import sys import time def tail(filename): with open(filename) as f: f.seek(0,2) while True: line = f.readline().. 2022.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