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02. iproute2의 이해 iproute2 - 네트워크 환경 설정이나 상태 확인을 위한 도구 이전 : net-tools (ifconfig, route, arp, netstat) -> 유지보수, 성능, 구현의 비효율성 등 문제 - ip명령 + ss명령 ip 명령: 라우팅을 포함한 일상적인 네트워크 환경설정을 위한 도구. 예) ip확인 : ip addr ss 명령: 네트워크 소켓의 상태를 확인하는 도구. netstat를 거의 대체한 것. 예) 80포트 사용중인 프로세스 확인: sudo ss -tulpn | grep 80 - 유용한 ip 명령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 ip link . IP 주소 확인: $ ip addr . 인터페이스 활성화: $ ip link set eth0 down $ ip link set eth0 up ... 2022. 12. 15. 05. (실습) systemd 등록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저장 Systemd 기반의 앱 구동 및 로그 관리 - FastAPI 기반 HelloWorld 앱 작성 - systemd 데몬 형태로 앱 구동 - journalctl 로 로그 출력 확인 - rsyslog 설정으로 별도의 로그 파일로 저장 . /var/log/hello.log - 로그 로테이트 설정 . logrotate.d 디렉토리에 HelloWorld 앱용 설정 추가 실습 링크: https://github.com/go4real/linux_campus/blob/main/Part3/Ch06_05/systemd_logging.md [실습] systemd 서비스 구동 앱의 로그 출력하기 0. pip3 패키지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python3-pip 1. 파이썬 패키지 설치 .. 2022. 12. 15. 01. 네트워크 기본의 이해 TCP / IP - 인터넷의 기반을 이루는 네트워킹 시스템 -> TCP/IP의 유연한 설계와 개방적이고 비독점적인 프로토콜 덕분에 인터넷 발전 - 특정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음 . 다른 네트워크 장비간 통신 (예, Cisco Samsung) . 다른 운영체제간 통신 (예, Windows Linux) . 다른 기기간 통신 (예, 휴대폰 네트워크 장비) IP (Internet Protocol) - 비신뢰성(unreliable), 비연결형(connectionless) 프로토콜 -> 연결 설정, 연결 종료의 과정 관리 없이 바로 데이터가 전송 - best-effort 방식의 전달 -> 최선은 다하겠지만, 전달을 못할 수도 있다 - 에러제어(오류 검출 및 제어)나 흐름제어(데이터 전송 흐름 제어) 없.. 2022. 12. 15. 04. 대규모 로그 관리 대규모 로그 관리 - 서비스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서버에 직접 접속해서 로그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워짐 -> 오토 스케일링 구성을 한 경우는 서버가 동적으로 생성 및 삭제가 됨 - 단순히 모으기만 해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힘듦 -> 여러가지 오픈소스 도구 및 SaaS 서비스들이 존재 대규모 로그 관리 - ELK 스택 . 충분한 기능을 제공 . 요청이 많을 경우 효율을 위해 버퍼 레이어(RabitMQ, AWS SQS, Kafka 등) 구성이 필요 . 관리 및 운영 비용은 단점 -> 관리형 ElasticSearch 서비스, SaaS형 솔루션인 logz.io 등 사용 -> 최신 로그만 저장하여 사용 (예, 한달 치 로그만 유지). 이전 데이터는 필요시 로딩 - 서비스형 . Splunk, Su.. 2022. 12. 14.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