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89 CH02_15. 테라폼 모듈 작성 방법 하나의 워크스페이스는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테라폼 커맨드가 실행되고 있는 모듈이 root 모듈이고 root 모듈에서 참조하는 모듈이 child 모듈이다. 이번에는 다른 테라폼 워크스페이스에서 모듈 블록을 이용하여 참조할 수 있는 child 모듈의 작성 방법을 알아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terraform/13-module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 2022. 6. 4. CH02_13. 테라폼 워크스페이스 관리 테라폼 워크스페이스는 테라폼 프로젝트와 같은데 이는 상태 관리의 단위이다.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blob/main/2-terraform/12-workspace-management/main.tf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 링크에 있는 코드를 이용해서 워크스페이스 관리 실습을 해보자 terraform workspace 관련 명령어로는 terrafo.. 2022. 6. 3. CH02_12. 테라폼 리소스 강제 교체하기 (taint & untaint) 이번에는 테라폼에서 리소스를 강제로 교체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blob/main/2-terraform/05-variable-local-output/main.tf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 링크에서 코드를 복붙해서 apply를 하면 vpc와 서브넷 라우트테이블이 생성된다. terraform taint 명령어는 리소스를 비정상적.. 2022. 6. 3. CH02_11. 테라폼 상태 관리 이번에는 테라폼 상태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terraform state는 상태 관리를 위한 명령어다. 서브 명령어 중 대표적으로 list, mv, rm 등 이 있다. terraform state list는 현재 테라폼 워크스페이스에서 관리 중인 리소스 상태들을 확인할 수 있다. terraform state show 명령어는 테라폼 코드형태로 리소스를 나타낸다. terraform state mv는 테라폼 코드를 리팩토링 할 때 자주 사용된다. 위의 developer와 employee 그룹의 코드를 하나의 블록으로 합쳐보면 아래와 같다. 그리고 apply를 수행하면 리소스 네임이 aws_iam_group.developer, aws_iam_group.employee 에서 aws_iam_group.this["d.. 2022. 6. 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