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WS89

CH03_10 패커 CLI 사용 방법 packer라는 명령어를 우분투 터미널에 입력하게 되면 사용 가능한 명령어들이 나온다. 이 중에서 fmt, inspect, validate, version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packer version은 사용하고 있는 패커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packer fmt [디렉토리 위치]은 공식적으로 제안하는 코드 convention으로 고쳐주는 명령어이다. packer inspect [디렉토리 위치]는 해당 템플릿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청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packer validate [디렉토리 위치]는 템플릿의 설정이나 문법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2022. 6. 8.
CH03_09 디버깅하는 방법 (Debugging) aws ami를 만드는 과정은 생각보다 오래 걸린다. 만약 프로비저닝 코드가 실패하고 수정을 거쳐 다시 빌드를 한다면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빠르게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패커의 디버깅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packer/04-provisioner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main 파일을 .. 2022. 6. 8.
CH03_08 후 처리기 (Post-processor) Post-processor는 패커가 빌드를 끝낸 후에 후처리를 하기 위해 필요하다. build 블록 내에서 post-processor라는 블록을 지정해서 어떻게 후 처리를 할지 정의할 수 있다. https://www.packer.io/docs/post-processors Packer by HashiCorp Post-processors run after the image is built by the builder and provisioned by the provisioner(s). www.packer.io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post-processor들이 있다. 첫 번째로 checksum이다. 보통은 패커가 빌드를 거쳐서 이미지를 만들고 나면 artifact(산출물)이 나온다. artifact를 가지.. 2022. 6. 7.
CH03_07 데이터 소스 활용 (Data-source) 이번 시간에는 패커에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https://www.packer.io/plugins/datasources/amazon/ami Packer by HashiCorp The Amazon AMI data source provides information from an AMI that will be fetched based on the filter options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www.packer.io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게 되면 패커의 외부로부터 특정 provider가 제공해주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아마존 ami를 filter를 통해 가져왔다. 패커를 사용할 때도 앱을 프로비저닝하는 과정에 기밀 데이터를 필요로 할 수 있는데 그럴.. 2022.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