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따배쿠] Appendix1. 멀티마스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multi-master - HA Kuberenetes cluster) 운영 master node가 한개 뿐이라면 그 node가 다운됐을 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선 master node가 여러 개가 필요하다. 각 master node간의 etcd는 항상 동기화된다. worker 노드들은 master node들과 직접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load balancer를 통해 통신한다. master 3개 load balancer 1개 worker 2개 총 컴퓨터 갯수가 7개다. Load Balancer docker run --name proxy -v /etc/nginx/nginx.conf:/etc/nginx/nginx.conf:ro --restart=always -p 6443:6443 -d nginx --restart=always == docker .. 2022. 11. 6. [따배쿠] 6-7. 쿠버네티스 CronJob CronJob =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Job 실행 예약 지원 0분 03시 1일 매달 매주 , 어떤 JOB을 실행시킨다. linux의 cron 과 유사하다 1-2 == 1에서 2까지 */5 == 5분에 한번씩 실행 , 5는 여기서 step이다. 시간이 이었으면 5시간마다 한번씩 실행하게 되는것이다. schedule 만 추가 되었다. 그리고 jobTemplate에 써있는 Job을 그대로 반복시켜주겠다. 매분 반복해서 jobTemplate을 실행시켜준다. concurrencyPolicy는 deafult가 allow로 한 번에 여러개의 job이 돌고 있어도 괜찮다. 만약 forbid 이고 작업이 80초가 걸린다면 다음작업은 60초 마다 실행시켜야해서 작업이 실행되지못하고 restart되는데 concurren.. 2022. 11. 5. [따배쿠] 6-6. 쿠버네티스 Job Controller Job Controller는 k8s는 pod를 running 중인 상태로 유지한다. Batch 처리하는 pod는 작업이 완료되면 종료된다. Batch 처리에 적합한 컨트롤러로 pod의 성공적인 완료를 보장한다. (비정상 종료 시 다시 실행) (정상 종료 시 완료) job-exam.yaml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restartPolicy: OnFailure 속성을 통해 컨테이너를 restart 시킬 수 있다. restart 시키는 횟수는 backoffLimit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completion 값은 성공적으로 컨테이너가 실행돼서 completed 상태가 된다면 새로운 컨테이너를 값만큼 추가로 실행시킨다. 새 컨테이너 실행을 동시에 하고싶다면 parallelism 값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 2022. 11. 5. [따배쿠] 6-5. 쿠버네티스 StatefulSet StatefulSet이란 Pod의 상태를 유지해주는 컨트롤러이다. Pod의 이름 Pod의 볼륨(스토리지) 어떤 번호가 생길지 보존해주는게 스테이트풀셋으로 1번에 문제가 생기면 1번이 완전 종료되고 다시 1번이 생긴다. 노드당 파드가 1개 생기는 데몬셋과는 달리 노드에 파드가 2개 이상 생길 수 있다. statefulset-exam.yaml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OrderedReady는 순차적으로 파드번호가 생성되는 값이고 디폴트값이다. Parallel이라는 값은 동시에 파드를 실행시킨다. 일단 statefulset을 실행시킨다. 그럼 동시에 0,1,2번 파드가 실행된다. kubectl delete pod sf-nginx-1를 입력하면 파드가 완전히 삭제될 때 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sf-nginx-1.. 2022. 11. 5.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