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따배쿠] 5-7 쿠버네티스 Pod - Pod 환경변수 설정과 실행 패턴 Pod 환경변수란 Pod내의 컨테이너가 실행될 때 필요로 하는 변수이다. NGINX Dockerfile의 예) ENV NGINX_VERSION 1.19.2 ENV NJS_VERSION 0.4.3 컨테이너가 빌드될 때 환경변수를 넣을 수 있다. 위 yaml 파일을 이용하여 kubectl create -f pod-nginx-env.yaml로 pod를 생성하고 kubectl exec nginx-pod-env -it -- /bin/bash로 컨테이너 안에 접속한다. 그리고 env 로 컨테이너 안의 환경변수를 확인할 수 있다. pod 구성 패턴의 종류 sidecar - 혼자서는 움직일 수 없는 파드, 로그가 나오고 그걸 분석하는 컨테이너가 포함되어 있는 파드, 컨테이너 내부에서 동작 adapter - 모니터링 정.. 2022. 11. 3. [따배쿠] 5-6 쿠버네티스 Pod - Pod에 Resource 할당하기 (CPU/memory requests, limits) Resource Requests 파드를 실행하기 위한 최소 리소스 양을 요청. Resource Limits 파드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리소스 양을 제한 Memory limit을 초과 사용하는 파드는 kill되며 다시 스케줄링 된다 (1MB == 1000KB) (1MiB == 1024 KiB) Pending: 자원이 부족해서 계속 대기중인 상태 2022. 11. 3. [따배쿠] 5-5 쿠버네티스 Pod - static Pod(feat. kubelet daemon) static pod k8s api 에게 요청을 보내지 않고 node의 kubelet daemon에 의해 실행되는 pod이다. /etc/kubernetes/manifests/ 디렉토리에 yaml 파일을 저장시 적용된다. static pod 디렉토리 구성 cat /var/lib/kubelet/config.yaml로 staticPodPath의 디렉토리를 볼 수 있다. staticPodPath의 디렉토리에다가 yaml을 넣으면 pod가 실행된다. config.yaml 파일의 staticPodPath의 디렉토리 위치를 수정했다면 kubelet daemon restart를 해야한다. node에서 yaml파일 삭제하면 pod도 삭제된다. 2022. 11. 3. [따배쿠] 5-3, 4. 쿠버네티스 Pod - init container & infra container init container 앱 컨테이너 실행 전에 미리 동작시킬 컨테이너 본 컨테이너가 실행되기 전에 사전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 초기화 컨테이너가 모두 실행된 후에 앱 컨테이너 실행 따라서 init container를 담고 있는 pod에서는 init container가 성공해야 main container를 구동시킨다. infra container(pause) pod가 생성될 때 같이 생성되고 지워지면 같이 지워진다. 역할은 해당 pod의 ip나 port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2022. 11. 3.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