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CH03_07 데이터 소스 활용 (Data-source) 이번 시간에는 패커에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https://www.packer.io/plugins/datasources/amazon/ami Packer by HashiCorp The Amazon AMI data source provides information from an AMI that will be fetched based on the filter options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www.packer.io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게 되면 패커의 외부로부터 특정 provider가 제공해주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아마존 ami를 filter를 통해 가져왔다. 패커를 사용할 때도 앱을 프로비저닝하는 과정에 기밀 데이터를 필요로 할 수 있는데 그럴.. 2022. 6. 7. CH03_06 프로비저너 (Provisioner) 이번 시간에는 프로비저너를 패커 코드에서 직접 사용해보자 프로비저닝은 머신 운영체제에 패키지를 설치, 설정, 앱을 deploy하는 과정이다. https://www.packer.io/docs/provisioners Packer by HashiCorp Provisioners use builtin and third-party software to install and configure the machine image after booting. www.packer.io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packer/04-provisioner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2022. 6. 7. CH03_05 선택적 빌드 (only & except) 지난 시간에는 여러 빌드 블록들을 동시에 실행했었다.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packer/02-builder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번 시간에는 여러 빌드 프로세스중 특정 빌드만 실행하거나 특정 빌드만 제외하고 실행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packer build -only="[실행할 source 이름]" [디렉토리 위치.. 2022. 6. 7. CH03_04 빌더 (Builder) 빌더란 어떤 종류의 머신 이미지를 만드느냐를 결정하는 요소이다. 빌더를 통해 AWS ec2 인스턴스를 만드는 방법은 5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EBS를 이용하여 AMI를 만들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번 시간에는 null 빌더를 통해 패커와 관련된 HCL 문법을 알아보자 참고로 null 빌더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빌더이다. https://www.packer.io/docs/builders/null Packer by HashiCorp The null Packer builder is not really a builder, it just sets up an SSH connection and runs the provisioners. It can be used to debug provisioners without inc.. 2022. 6. 7.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