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03. 디렉토리 구조의 이해 주요 디렉토리 / : 기본 계층 모든 파일 시스템 계층의 기본인 루트 디렉토리 /bin : 모든 사용자를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에서 사용 가능해야 하는명령어 바이너리, e.g., cat, ls, cp /sbin : 필수 시스템 바이너리, e.g., init, ip, mount /usr/bin : 대부분의 명령과 실행 파일 /opt : 선택 가능한 응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usr/local : 로컬 소프트웨어나 환경설정 데이터 /etc : 시스템에 필수적인 시작 및 설정 파일 (바이너리 파일은 저장하지 않음) /run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위한 PID, socket등을 위한 디렉토리 /var/log : 시스템 로그 파일 /home : 사용자 홈 디렉토리 /tmp : 재부팅 시 삭제 될 수 있는 임시 파.. 2022. 7. 19.
02. 파일시스템 마운트 경로명 파일 시스템은 / (루트) 디렉토리를 시작으로 하위 디렉토리로 내려가는 계층구조로 표현 -> 윈도우는 드라이브, 파티션별로 구성된 네임스페이스 개념 절대 경로 vs. 상대 경로 -> 절대 경로 : /home/ubuntu/linux_campus/ch2 상대 경로 : linux_campus/ch2 * 시스템 콜로 넘겨 줄 수 있는 전체 경로 길이에 제한이 존재 -> cd로 경로를 변경한 후 상대 경로를 사용 디렉토리 vs. 폴더 -> 윈도우와 Mac OS에서 파생되어 폴더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가 맞음 파일 시스템 마운트와 언마운트 파일 시스템은 여러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 파일 시스템 마운트 명령 $ sudo mount /dev/sda1 /usr 마운트된 모든 파일 시스템 .. 2022. 7. 19.
01. 파일시스템의 이해 파일 시스템 스토리지 장치에 파일을 명명하고, 저장하고, 읽어내는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 파일시스템 역할 공간 관리: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되는 방식을 관리. 예) 하드 디스크 고려한 파일 시스템 à 파편화 관리 (seek time, rotational time) 파일 이름 관리: 이름 길이, 특수 문자, 대소문자 구분 등 예) 길이제한: exFAT UTF-16 255자, ext4 255 바이트 디렉토리 관리: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토리 정보를 관리 예) 부모 디렉토리 정보를 참고하여 블록 배치에 활용 메타 데이터 관리: 파일 길이, 권한, 디바이스 타입, 수정 시간, 기타 속성들 장애 관리: 시스템 장애 시 파일 유실 방지 (예, 저널링: 메타 데이터나 데이터의 로그를 저장) 예) 디스크 해제 기능 실행 .. 2022. 7. 19.
05. (실습) crontab으로 로그파일 크기 자동 관리 설정 운영 중에 로그 파일이나 임시 파일의 증가로 disk full 관련한 장애가 적지 않게 발생 -> crontab으로 로그 파일 관리방법 crontab으로 로그 파일을 관리하는 실습 - 타겟 App은 nginx - nginx 로그 파일을 관리하는 작업을 crontab으로 관리 . access.log, error.log - 로그 파일 관리 정책 . 매일 로그 파일 관리 프로그램 실행 . 날짜가 지나면 로그 파일을 로테이트 -> 이전 날짜의 로그는 별도 이름으로 저장 예) access.log, access.log.1 . 2주가 지난 로그파일은 삭제 . 오래된 로그 파일은 압축된 형태로 저장 예) access.log, access.log.1, access.log.2.gz, access.log.3.gz,,, lo.. 2022. 7.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