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05. (실습) 시스템 부팅시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설정 1. 실습용 스크립트 파일 작성 (10초마다 시스템 상황을 uptime.log파일에 저장) sudo vi /usr/local/bin/uptime-logger #!/bin/sh while : do echo $(/bin/date) - $(/usr/bin/uptime) >> /tmp/uptime.log sleep 10 done 2. systemd 서비스 생성 -> service 타입의 Unit파일 생성 sudo vim /etc/systemd/system/uptime-logger.service [Unit] Description=systemd practice. [Service] ExecStart=/bin/sh /usr/local/bin/uptime-logger [Install] WantedBy=multi-user.. 2022. 7. 16.
04. 시스템 재부팅 및 종료 운영 중인 시스템 재부팅 서비스 중단을 초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함 예) 메모리 풀, 네트워크 소켓 수가 증가 등을 단순히 재부팅으로 해결하면 안됨 시작 스크립트를 수정하거나 중요한 설정을 변경한 후에는 재부팅 하여 검증 필요 -> 몇 주가 지난 후 변경된 설정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원인을 찾기 힘듦 물리 호스트 종료 halt, shutdown(로그인 된 사용자에게 알림), reboot (재시작) 예) 종료 : sudo shutdown -h now sudo halt -p 재부팅: sudo reboot 클라우드 가상 머신 종료 halt, shutdown, reboot 웹 콘솔, API 이용 클라우드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 디버깅 모드로 시스템을 구동하여 복구 -> 단일 사용자 모드(single.. 2022. 7. 16.
03. systemd 소개 Systemd 주요 역할 기존 init 프로세스의 기능을 지원 및 통합 동작 모드에 따른 시작 서비스 관리 (기존 run level) 병렬 실행 및 종속성 모델 관리 커널 로그 엔트리 관리 (journald) 네트워크 연결 관리(networkd) 로그인 관리 (logind) Unit, Unit 파일 Systemd가 관리하는 기본 개체 단위 Unit 유형 -> service, socket, device, mount, automount, swap, target, path, timer, slice, scope -> unit 파일의 suffix로 활용 (예, ssh.service) Unit별로 수행할 작업의 정의나 설정은 unit에 정의 Unit 파일 형식 (INI 파일 형식) . Unit 섹션: Unit의 기.. 2022. 7. 16.
02. 시작 서비스의 이해 지난 시간에 배웠던 리눅스 시스템 부팅순서를 보면 아래와 같다. 1. BIOS 에서 하드웨어 검사 후 부팅 기기 선택 및 파티션 식별 2. 부트로더에서 커널 선택 및 커널 로드 3. 커널 자료구조 초기화 및 시작 서비스 구동 이번에는 시작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시작서비스 시스템 구동 시 최초로 실행되는 사용자 레벨 프로세스(pid 기준으로 1번)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각종 스크립트를 실행 (실행 레벨/모드이나 배포판에 따라 차이가 있음) . 컴퓨터 이름 설정 . 타임존 설정 . fsck로 디스크 상태 확인 . 파일시스템 마운트 . /tmp 디렉토리의 오래된 파일 삭제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 패킷 필터 설정 . 네트워크 서비스 시작 . 기타 데몬 시작 실행레벨 실행 레벨 / 오퍼레이팅 모드 - .. 2022.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