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따배쿠] 4-2.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 namespace namespace 클러스터 하나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눠서 사용 kubectl get namespaces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를 출력한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pod를 생성하면 디폴트로 설정된 네임스페이스에 생성된다. --namespace 옵션은 -n 으로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nginx.yaml 파일을 작성한다. kubectl create -f nginx.yaml 명령어로 pod를 실행시키고 kubectl get pods -n default로 확인 가능하다. kubectl create namespace [namespace 이름] 새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 kubectl create namespace [namespace 이름] --dry-run -o yaml > [파일이름].yaml 새 네.. 2022. 11. 1.
[따배쿠] 4-1.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 Kubernetes 동작원리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마스터 컴포넌트 etcd key-value 타입의 저장소 kube-apiserver k8s API를 사용하도록 요청을 받고 요청이 유효한지 검사 kube-scheduler 파드를 실행할 노드 선택 kube-controller-manager 파드를 관찰하며 개수를 보장 워커 노드 컴포넌트 kubelet 모든 노드에서 실행되는 k8s 에이전트 데몬 형태로 동작 kube-proxy k8s의 network 동작을 관리 iptables rule을 구성 컨테이너 런타임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엔진 docker, containerd, runc 2022. 11. 1.
[따배쿠] 3-2. kubectl command / pod 생성하기 kubectl api-resources 오브젝트들의 종류와 약어를 출력한다. ex) kubectl get po 는 kubectl get pods와 같다. kubectl --help kubectl의 명령어 도움말 ex) kubectl logs --help 는 logs에 관한 도움말이다. kubectl get nodes node들의 정보를 출력한다. ex) kubectl get nodes -o wide 는 node들의 정보를 자세히 출력한다. kubectl describe node [node 이름] node의 정보를 아주 자세히 출력한다. kubectl run [pod 이름] --image=[이미지 종류] [옵션] pod를 생성하여 실행한다. ex)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 2022. 11. 1.
02. 새로운 사용자 추가 독립된 리눅스 호스트에 사용자를 추가하자 수작업으로 사용자 생성 사용자 계정을 정의하기 위한 /etc/passwd와 /etc/shadow 파일 편집 필요한 경우 사용자를 /etc/group 파일에 추가 (예, sudo 사용자 추가) 사용자 홈 디렉토리 생성 및 /etc/skel/ 디렉토리의 파일들 복사 소유자 설정, 사용 권한 설정 사용자 관리용 명령으로 간편하게 사용자 생성 useradd : 사용자 계정 생성, usermod : 사용자 계정 수정, userdel : 사용자 계정 삭제 사용자 생성 : $ sudo useradd john 추가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생성 : $ sudo useradd -m -s /bin/bash jane 사용자 삭제 : $ sudo userdel jane -r [실습] 요구.. 2022. 7.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