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01. 사용자 관리의 이해 리눅스 계정 모델 전통적인 방식 . 유닉스나 리눅스에서 사용되던 전통적인 계정 모델 -> /etc/passwd, /etc/shadow, /etc/groups 확장 방식 . LDAP 이나 Active Directory 같은 디렉토리 서비스와의 통합 -> 통합 사용자 관리 (장점: 새로운 사용자 등록, 퇴사자 관리, 역할에 따른 권한 관리 등)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관리는 UID를 기준으로 동작 사용자 ID(UID): 사용자를 식별하는 하나의 숫자 (부호 없는 32비트 정수) UID를 사용자 정보로 매핑 하여 사용 à getpwuid(), getpwnam(), /etc/passwd 등으로 매핑 /etc/passwd 파일 시스템이 인식하는 사용자들의 목록 내용 로그인명 : 암호화된 암호 : UID : GID :.. 2022. 7. 21.
02. 상위 레벨 패키지 관리 시스템 (apt, yum) 고수준 패키지 관리 시스템 관리 내용 . 패키지를 찾아 다운로드하는 작업을 단순화 -> 패키지 저장소가 존재 . 시스템 업데이트나 업그레이드 과정 자동화 . 패키지간 의존성 관리 간편화 예) apt install nginx -> 바이너리 다운로드 및 설치, 의존성 관리, 서비스 등록, 부팅 시 시작, 로그 로테이션 등 종류 Debian계열 : apt, RedHat 계열 : yum * 이전은 apt-get, apt-cache 명령 사용했지만, apt명령으로 주요 기능을 통합 -> apt 사용 명령 $ apt install -y nginx à -y 옵션: 설치 시 나오는 질문에 모두 yes 처리 $ apt remove nginx yum도 명령어는 비슷함 $ yum install nginx 공식 저장소 외에 .. 2022. 7. 20.
01. 리눅스 패키지 시스템 (rpm, dpkg) 전통적 방식 프로그램 설치 코드를 빌드해서 설치 후 사용 $ wget https://nginx.org/download/nginx-1.20.1.tar.gz $ tar zxf nginx-1.20.1.tar.gz $ cd nginx-1.20.1 $ ./configure $ make $ sudo make install -> 빌드를 위한 각종 라이브러리 설치가 필요함. 직접 프로그램 실행 관리를 해야 함 소프트웨어 관리 작업을 단순화하고 편리하게 -> 패키징 시스템(패키지 매니저) 등장 패키지 시스템의 패키지 구성 -> 컴파일된 바이너리, 의존성 정보, 환경설정 템플릿 등 소프트웨어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이 포함 리눅스 패키지 관리 시스템 저수준 RPM 2022. 7. 20.
04. 파일 타입 및 속성의 이해 파일 타입 7가지 타입 일반 파일, 디렉토리, 문자(character) 장치 파일, 블록 장치 파일, 심볼릭 링크, 로컬 도메인 소켓, 네임드 파이프 -> file 명령으로 파일 유형 확인 $ file /tmp $ file /dev/tty0 일반 파일 생성: cp, mv, touch, editor 이용 … 삭제: rm $ rm -i 파일명 -> 의도하지 않게 삭제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삭제 전 알림 창 확인 디렉토리 생성: mkdir 삭제: rmdir (비어있는 디렉토리 삭제), rm -r * 특수한 디렉토리: . (현재 디렉토리), .. (부모 디렉토리) ß 삭제 불가능 링크 하드 링크: 원본 파일에 대한 직접적인 참조 (동일한 inode, ls -i) 생성: ln TARGET LINK_NAME 삭.. 2022.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