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4 CH02_16. 테라폼 terraform_remote_state 데이터소스 활용 테라폼의 remote state는 data 블록으로 열여서 데이터소스로 활용할 수 있다.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terraform/latest/docs/data-sources/remote_state Terraform Registry registry.terraform.io 인프라 규모가 커진다면 여러 워크스페이스로 인프라 관리를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여러 워크스페이스 간에 의존성이 생길 수 있는데 의존하는 워크스페이스의 attribute를 참조해야 할 때 remote state를 사용하면 좋다. local backend를 사용할 때는 backend 속성을 local로 지정하고 config블록에서 path를 지정한다. remote back.. 2022. 6. 4. CH02_15. 테라폼 모듈 작성 방법 하나의 워크스페이스는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테라폼 커맨드가 실행되고 있는 모듈이 root 모듈이고 root 모듈에서 참조하는 모듈이 child 모듈이다. 이번에는 다른 테라폼 워크스페이스에서 모듈 블록을 이용하여 참조할 수 있는 child 모듈의 작성 방법을 알아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tree/main/2-terraform/13-module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 2022. 6. 4. CH02_13. 테라폼 워크스페이스 관리 테라폼 워크스페이스는 테라폼 프로젝트와 같은데 이는 상태 관리의 단위이다.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blob/main/2-terraform/12-workspace-management/main.tf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 링크에 있는 코드를 이용해서 워크스페이스 관리 실습을 해보자 terraform workspace 관련 명령어로는 terrafo.. 2022. 6. 3. CH02_12. 테라폼 리소스 강제 교체하기 (taint & untaint) 이번에는 테라폼에서 리소스를 강제로 교체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blob/main/2-terraform/05-variable-local-output/main.tf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 링크에서 코드를 복붙해서 apply를 하면 vpc와 서브넷 라우트테이블이 생성된다. terraform taint 명령어는 리소스를 비정상적.. 2022. 6. 3.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