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4

CH02_11. 테라폼 상태 관리 이번에는 테라폼 상태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terraform state는 상태 관리를 위한 명령어다. 서브 명령어 중 대표적으로 list, mv, rm 등 이 있다. terraform state list는 현재 테라폼 워크스페이스에서 관리 중인 리소스 상태들을 확인할 수 있다. terraform state show 명령어는 테라폼 코드형태로 리소스를 나타낸다. terraform state mv는 테라폼 코드를 리팩토링 할 때 자주 사용된다. 위의 developer와 employee 그룹의 코드를 하나의 블록으로 합쳐보면 아래와 같다. 그리고 apply를 수행하면 리소스 네임이 aws_iam_group.developer, aws_iam_group.employee 에서 aws_iam_group.this["d.. 2022. 6. 3.
CH02_10. 테라폼 상태 저장소 (Backend) 테라폼에는 Local State와 Remote State가 있다. Local State는 상태를 담은 파일을 local에 남긴다. 파일들이 local에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개인작업만 가능하다. terraform init & terraform apply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local에 생성된다. .terraform.* 형태의 파일 : terraform init 명령어를 실행할 때 생성 terraform.tfstate: terraform apply 명령어 실행 후 생성 .terraform.lock.hcl: 잠금 파일이며 경쟁 상태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피할 수 있게 해 줌 Remote State는 원격으로 local이 아닌 다른 곳에 상태를 남긴다. 이를 위해서는 state를 .. 2022. 6. 3.
CH02_09. 테라폼 HCL 반복문(For) 이번에는 for문에 대해 알아보자 https://www.terraform.io/language/expressions/for For Expressions - Configuration Language | Terraform by HashiCorp For expressions transform complex input values into complex output values. Learn how to filter inputs and how to group results. www.terraform.io for문은 expression을 활용 가능한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시를 보면 var.map이 {{"abc" = "a"}, {"abcd" = "efg"}} 이라고 한다면 "abc"와 "abcd".. 2022. 6. 2.
CH02_08. 테라폼 HCL 조건문 이번에는 테라폼에서 조건문을 활용해보자 https://github.com/tedilabs/fastcampus-devops/blob/main/2-terraform/07-conditional/main.tf GitHub - tedilabs/fastcampus-devops: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 패스트캠퍼스 데브옵스 초격차 코스 자료. Contribute to tedilabs/fastcampus-dev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테라폼에서는 "?", ":"을 이용해서 조건문을 작성할 수 있다. variable로 "is_john"을 선언했고 locals 블록에서 message는 var.is_john은 참이므로.. 2022. 6. 2.
반응형